엑시노스 2500의 향방- 삼성의 반도체 수율은 어떻게 되어가나.
2024.11.07 - [제품 소식] - 갤럭시 s 25 - 스냅드래곤 탑재 or 엑시노스탑재?
삼성도 바라는 것은 본인들의 시그니쳐, 플래그십 라인에
본인들이 개발하고 만든 엑시노스를 넣는게 원가절감에도 유리하고, 여러모로
유리한 면이 많을 거다.
애플처럼 말이죠.
모든 핸드폰 생산 회사가 그렇지 않을까.
자신들이 개발한 자체칩셋을 넣어서, 잘 파는 것.
문제는 잘 파는 것에 있다.
수율이 좋지 않은 건 둘째치고,
가격 대비 성능이 너무 떨어진다는 것.
얼마나 이전에 떨어졌으면
애플은 1세대 더 앞서간다 그런 말이 공공연히?
나왔을까.
그나마 스냅드래곤이 안드로이드에서 애플칩셋을 앞질러주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여기서 생기는 문제는 바로 원가.
스냅드래곤의 가격이 가격이니만큼,
삼성도 자체칩셋인 엑시노스에 개발 박차를 가해서
스냅드래곤만큼 나와줘야하는데 그 연구비용은 다 어디서 나오겠는가.
결국엔 자체개발한 엑시노스 어디다가 쓰긴 해야할 것 아닌가.
그래서 이번에 나오는 이야기로는
z 플립 시리즈에 엑시노스 2500 탑재를 확정지었다고 한다.
- it 매체 디 일렉의 보도-
이에 따라 엑시노스 2500의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양산 시기가 시기이니만큼 s25에는 탑재 불가.
-s25에는 기존보도처럼 스냅드래곤 전량 탑재-
엑시노스 2500 탑재 기기는
갤럭시 z 플립 7 / z 플립 fe 라고.
여태까지 삼성의 폴더블 스마트폰은 다 스냅드래곤이 탑재되었는데,
이번 7 플립에서 처음으로 폴더블 스마트폰에 엑시노스가 탑재될 예정이라고.
플립은 성능보단 디자인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폴드 대비 엑시노스가 탑재되어도
거부감은 덜하겠지만, 그만큼 가격으로 메리트를 줄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삼성이 잘 못생각하고 있는게,
본인들이 개발한 자체칩셋의 가격이 스냅드래곤과 맞먹는다고 생각하는 것인데,
이 부분이 개선되어 가성비 좋게 나온다면 충분히 메리트 있지 않을까 싶다.
아니면 엑시노스 2500이 스냅드래곤 씹어먹을 정도로 좋다면,
충분히 가격을 설명할 수 있는 위치가 되겠지만.
그건 어떻게될지 시간을 놓고 봐야겠다.